> 정보&뉴스 > 해외진출 꿀팁 > 해외 비자정보

해외진출 꿀팁

해외진출을 보다 쉽고, 정확하고, 안전하게 만드는 다양한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해외취업유망 15대국가 현지 부족직종 현황
현지 부족직종 현황
국가 출처* 부족직종(공단,‘15.8 조사결과) 인력수요 상위직종(코트라,‘15.4 조사결과)
미국 ․숙련기술자, 운전사, 교사, 간호사, 회계사무원, 엔지니어, 행정전문직 등 10 개 정보통신전문가‧기술직(83%) , 경영‧금융전문가(10%)
캐나다 ․전문직 : 보건의료 종사자 등 50 개․기술직 : 철공종사자 등 92 개 판매 및 고객서비스 관리직(40%), 기타 기능 관련직(20%)
독일 ․메카트로닉스, 자동화기술, 건설전자, 전기기계공학, 배관, 냉동기술, 간호, 노인 케어 등 24 개 정보통신전문가‧기술직(60%), 운전‧운송관리직(15%), 판매‧고객서비스관리직(11%)
일본 ․IT 전문인력, 장기요양치료, 복지관련 종사자, 제조업분야 숙련기술자 공학전문가‧기술직(96%), 정보통신전문가‧기술직(2%)
싱가폴 ․고급인력 : 교수, 관리자, 기술자․미숙련인력 : 사무 판매, 관광서비스, 생산, 교통운영, 청소부, 인부 운송‧여가서비스직(54%), 상담‧안내‧통계 및 기타사무직(11%), 경영‧금융전문가(10%)
호주 ․의료, 건축, IT, 자동차 기술자, 전기기사, 요리사, 보육교사 등 72 개 조리‧음식서비스직(38%), 판매‧고객서비스 관리직(15%), 상담‧안내 ‧통계 및 기타 사무직(12%), 운송‧기계 관련 기능직(9%)
베트남 ․한국진출기업 중간관리자 및 기술직․건설, 금융, IT, 서비스 등 경영‧회계 관련 사무직(42%), 판매‧고객서비스 관리직(24%), 건설‧전기 및 생산관련 관리직(15%), 경영‧금융전문가 및 관련직(13%)
인니 ․한국진출기업 중간관리자 및 기술직․플랜트 엔지니어, 금융․보험 등 경영‧회계 관련 사무직(32%), 행정‧경영지원 관리직(28%), 판매‧고객서비스 관리직(19%)
중국 ․기술자, 영업, 운영․관리, 비숙련 노동자, 무역, IT, 생산관리, 연구원 등 운송‧여가서비스직(42%), 경영‧금융전문가 및 관련직(37%)
UAE ․건설플랜트, 석유․가스, IT 분야, 항공 및 호텔분야 운송‧여가서비스직(46%) , 공학전문가‧기술직(46%)
카타르 ․의료분야, 항공승무원, 에너지 관련 엔지니어, IT 전문가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건설관련 영업직 경영‧회계관련 사무직(21%) , 건설‧전기 및 생산관련 관리직(18%), 화학관련 기계조작직(16%), 전문서비스 관리직(14%)
사우디 ․교통․물․항공산업․보건의료․웨딩산업문야 인력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관련직(92%)
쿠웨이트 건설분야 및 엔지니어링 전문인력 건설‧전기 및 생산관련 관리직(51%), 공학전문가‧기술직(33%)
브라질 ․생산관리직, 비서․사무행정원, 운전기사, 영업사무직, IT, 재무․회계사 등 10 개 -
멕시코 ․영업사무직, 비서․사무행정원, 엔지니어, 생산관리직, IT, 재무․회계사 등 10 개 경영‧회계 관련 사무직(68%)
* 출처 : 복수일 경우 다음의 순으로 출처 명시
√ ①정부기관→②맨파워 등 글로벌 리크루트사→③대내외 정책페이퍼 내지 연구용역보고서 등
미국의 해외부족직군
요약

(경제동향)안정적인 경제성장률 지속

ㆍ 2013년 주택경기회복을 필두로 민간 부문의 소비 및 투자 증가세와 더불어 안정적인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산업동향)의학‧건강‧삶의 질과 관련된 서비스 산업의 성장

ㆍ ‘13년 12월 노동부 홈페이지 노동통계자료에 2012년-2022년 유망직종 30개 발표

ㆍ간호사, 장기요양관리사 등 개인단위의 고객대상 의학 및 헬스케어 관련 전문서비스 제공 직군이 30개 중 7개 차지(23.3%)

(인력동향)숙련기술자에 대한 수요

ㆍ 2015년 기준 미국 내 고용주의 32%가 적절한 인력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2015 U.S Talent Shortage Report』, Manpower

ㆍ미국 내 구인난이 가장 심한 직종은 숙련기술자를 1위로 기타 운전사, 교사 등이 포함

맨파워 발표 부족직군
맨파워 발표 부족직군
순번 부족직군 비고
영어 내지 원문 한글번역
1 Skilled trade workers 숙련기술자  
2 Drivers 운전사  
3 Teachers 교사  
4 Sales Representatives 영업원  
5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행정전문직  
6 Management/Executives 관리자  
7 Nurses 간호사  
8 Technicians 기술자  
9 Accounting&Finance Staff 회계사무원  
10 Engineers 엔지니어  
미 노동부 발표 유망직종
미 노동부 발표 유망직종
순번 부족직군(유망직종) 비고
영어 내지 원문 한글번역
1 personal care aides 장기요양관리사  
2 registered nurses 공인 간호사  
3 retail salespersons 소매 영업사원  
4 home health aides 홈헬스케어 보조  
5 combined food preparation and serving workers, including fast food 음식서비스 종사자  
6 nursing assistants 양육도우미  
7 secretaries and administrative assistants, except legal, medical, and executive 비서 및 행정보조 사무원(법률, 의학, 경영임원 제외)  
8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 고객관리대행자  
9 janitors and cleaners, except maids and housekeeping cleaners 미화원 및 청소부(가사도우미 제외)  
10 construction laborers 건설 근로자  
11 general and operations managers 간부급 관리자  
12 laborers and freight, stock, and material movers, hand 화물운송 관련 종사자  
13 carpenters 목수  
14 bookkeeping, accounting, and auditing clerks 재정‧회계 및 감사 사무원  
15 heavy and tractor-trailer truck drivers 중장비 기계차량 조작원  
16 medical secretaries 의료 관련 비서  
17 childcare workers 보육 관련 종사자  
18 office clerks, general 그 외 분류되지 않은 사무원  
19 maids and housekeeping cleaners 가사도우미  
20 licensed practical and licensed vocational nurses 간호사(2년제)  
21 first-line supervisors of office and administrative support workers 일선 관리자 및 행정보좌  
22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cept special education 초등교사(특수교육 제외)  
23 accountants and auditors 회계‧회계감사원  
24 medical assistants 의료서비스 보조  
25 cooks, restaurant 요리사  
26 software developers, applications 소프트웨어 개발자  
27 landscaping and groundskeeping workers 조경‧정원 관리사  
28 receptionist and information clerks 접수원 및 안내원  
29 management analysts 경영 분석가  
30 sales representatives, wholesale and manufacturing, except technical and scientific products 제조 및 도매 영업원(기술‧기계 관련 생산품 제외)  
부족직군 관련 현지정부차원 혜택

ㆍ취업비자 H-1B(Specialty Work Visa) 취득시 추후 영구 체류권(Labor Certification→Green Card)으로 전환 가능
ㆍ간호사자격증(NCLEX-RN)소유자는 연간 500개의 별도 쿼터가 제공되는 간호사 비자 H-1C 신청 가능

캐나다의 해외부족직군
일반현황

지난 5년간 임시 외국인 근로자 급증(40만명)으로 자국민 고용기회 박탈.
이로 인해 단순노동직 보다 특수 기술직 및 전문고급인력 유치노력 강화

* 최근 유가 하락으로 알버타주 오일샌드 산업이 다소 침체

서비스 산업분야의 고용성장이 빠른편이며, 인구 연령구조상 의료전문인력 부족, 의료인력 도입을 위해 5년내 7,500만달러 배정 예상

향후, 외국인력 도입과 관련하여 숙련공을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 컴퓨터 시스템 디자인, 용접공 등이 유망

ㆍ‘14.5.1 기준, www.cic.gc.ca(캐나다 이민국 홈페이지)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총 142개 분야의 부족직군을 제시

1. 전문직 (FSWP : Federal Skilled Worker Program)→ NOC Code 0013 ~ 5125 : 총 50개
2. 기술직 (FSTP : Federal Skilled Trades Program)→ NOC Code 7201 ~ 6332 : 총 92개

부족직군 현황

(괄호 안 : NOC Code)

부족직군 현황
순번 부족직군 비고
영어 내지 원문 한글번역
1 Senior managers-financial, communications and other business services (0013) 금융, 통신 및 그 외 사업 관련 고위직 종사자  
2 Senior managers-trade, broadcasting and other services, n.e.c.(0015) 무역, 방송 및 그 외 서비스 관련 고위직 종사자  
3 Financial managers (0111) 재무담당 관리직  
4 Human resources managers (0112) 인적자원 관리자  
5 Purchasing managers(0113) 상품구매 관리자  
6 Insurance, real estate and financial brokerage managers (0121) 보험, 부동산 및 금융중개 관리자  
7 Managers in health care (0311) 보건 관리사  
8 Construction managers (0711) 건축 관리사  
9 Home building and renovation managers (0712) 주택 건축 및 수리 관리사  
10 Managers in natural resources production and fishing (0811) 1차 산업분야 생산 관리자 (농업제외)  
11 Manufacturing managers (0911) 제조 관리자  
12 Financial auditors and accountants (1111) 금융 감사 및 회계사  
13 Financial and investment analysts (1112) 투자 분석사  
14 Securities agents, investment dealers and brokers (1113) 투자 딜러  
15 Other financial officers (1114) 각종 금융 관리사  
16 Professional occupations in advertising, marketing and public relations (1123) 광고, 마케팅 홍보 전문가  
17 Supervisors, finance and insurance office workers (1212) 금융, 보험 감독 사무직  
18 Property administrators (1224) 자산 관리사  
19 Geoscientists and oceanographers (2113) 지구학자 및 해양조사관  
20 Civil engineers(2131) 토목 엔지니어  
21 Mechanical engineers (2132) 기계공학자  
22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2133) 전기, 전자 엔지니어  
23 Petroleum engineers(2145) 석유 공학자  
24 Information systems analysts and consultants (2171) 정보시스템 분석가 및 컨설턴트  
25 Database analysts and data administrators (2172) 데이터베이스 분석 및 데이터 관리자  
26 Software engineers and designers (2173)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디자이너  
27 Computer programmers and interactive media developers (2174) 컴퓨터 프로그래머 및 양방향 미디어 개발자  
28 Mechanical engineering technologists and technicians (2232) 기계 공학 전문
기술자 및 기사
 
29 Construction estimators (2234) 건설공사 견적원  
30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technologists and technicians (2241) 전기 전자 공학분야 기술자 및 기사  
31 Industrial instrument technicians and mechanics (2243) 공업기계 기술자 및 정비공  
32 Inspectors in public and environmental health an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2263) 감사관/조사관 : 공공안전, 환경건강, 직업건강, 안전관련  
33 Computer network technicians (2281)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자  
34 Nursing co-ordinators and supervisors (3011) 간호 코디네이터 및 관리자  
35 Registered nurses and registered psychiatric nurses (3012) 공인 간호사 및 정신과 간호사  
36 Specialist physicians (3111) 전문 내과의사  
37 General practitioners and family physicians (3112) 일반의 및 가정의  
38 Dietitians and nutritionists (3132) 영양사  
39 Audiologist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3141) 청강학자 및 언어치료사  
40 Physiotherapists (3142) 물리치료사  
41 Occupational therapists (3143) 직업 치료사  
42 Respiratory therapists, clinical perfusionistsand cardiopulmonary technologists (3214) 호흡기 치료사, 임상관류사 및 심폐소생사  
43 Medical radiation technologists (3215) 방사선사  
44 Medical sonographers (3216) 초음파기사  
45 Licensed practical nurses (3233) 간호 조무사  
46 Paramedical occupations (3234) 보건의료 종사자  
47 University professors and lecturers (4011) 대학 교수, 강사  
48 Psychologists (4151) 심리학자  
49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assistants (4214) 유아 보육 교사  
50 Translators, terminologists and interpreters (5125) 번역가 및 통역가  
51 Contractors and supervisors, machining, metal forming, shaping and erecting trades and related occupations (7201) 기계가공, 금속성형 관련 종사자  
52 Contractors and supervisors, electrical trades and telecommunications occupations (7202) 전기 통신 관련 종사자  
53 Contractors and supervisors, pipefitting trades (7203) 배관 관련 종사자  
54 Contractors and supervisors, carpentry trades (7204) 목공 관련 종사자  
55 Contractors and supervisors, other construction trades, installers, repairers and servicers (7205) 그 외 건축, 설치, 수리 및 서비스 종사자  
56 Machinists and machining and tooling inspectors (7231) 기계운전, 공작기계 및 공구 검사관  
57 Tool and die makers (7232) 공구 및 금형 제조자  
58 Sheet metal workers (7233) 판금 가공 기사  
59 Boilermakers(7234) 보일러 제조원  
60 Structural metal and platework fabricators and fitters (7235) 금속구조물, 판금공작 및 조립기술자  
61 Ironworkers (7236) 철공 종사자  
62 Welders and related machine operators (7237) 용접기사 및 기기 조작자  
63 Electricians(except industrial and power system) (7241) 전기기사 (산업, 전력 제외)  
64 Industrial electricians (7242) 산업 전기 기사  
65 Power system electricians (7243) 전력 전기 기사  
66 Electrical power line and cable workers (7244) 전력 케이블 기사  
67 Telecommunications line and cable workers (7245) 통신 케이블 기사  
68 Telecommunications installation and repair workers (7246) 통신장비 설치 및 수리원  
69 Cable television service and maintenance technicians (7247) 케이블 TV 서비스 및 유지 관리자  
70 Plumbers (7251) 배관공  
71 Steamfitters, pipefitters and sprinkler system installers (7252) 증기파이프 시설공, 연관공 및 스프링클러 설치기사  
72 Gas fitters (7253) 가스 설치 기사  
73 Carpenters (7271) 목수  
74 Cabinetmakers (7272) 가구제작 기술공  
75 Bricklayers (7281) 벽돌공  
76 Concrete finishers (7282) 콘크리트 마감공  
77 Tilesetters (7283) 타일공  
78 Plasterers, drywall installers and finishers and lathers (7284) 미장공  
79 Roofers and shinglers (7291) 지붕잇기공  
80 Glaziers(7292) 유리 설치원  
81 Insulators(7293) 단열 기사  
82 Painters and decorators (except interior decorators)(7294) 도색공 및 도배기사 (실내인테리어 제외)  
83 Floor covering installers (7295) 바닥 설치기사  
84 Contractors and supervisors, mechanic trades (7301) 정비공  
85 Contractors and supervisors, heavy equipment operators crews (7302) 중장비 조작관련 종사자  
86 Supervisors, printing and related occupations (7303) 출판, 인쇄 관련 관리자  
87 Supervisors, railway transport operations (7304) 철도 수송 관리자  
88 Supervisors, motor transport and other ground transit operators (7305) 자동차 및 수송관련 종사자  
89 Construction millwrights and industrial mechanics (7311) 기계수리 기술자 및 산업 정비공  
90 Heavy-duty equipment mechanics (7312) 중장비 설비 정비원  
91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mechanics (7313) 냉각 및 공조 기사  
92 Railway carmen/women(7314) 철로 정비사  
93 Aircraft mechanics and aircraft inspectors (7315) 항공정비사 및 항공기 감독관  
94 Machine fitters(7316) 기계설비 기술자  
95 Elevator constructors and mechanics (7318) 엘리베이터 제조 및 정비사  
96 Automotive service technicians, truck and bus mechanics and mechanical repairers (7321) 자동차 부품 수리원 및 트럭, 버스 정비원  
97 Motor vehicle body repairers (7322) 차량 차체 정비공  
98 Oil and solid fuel heating mechanics (7331) 유류 및 고체연료 난방기 관리사  
99 Appliance servicers and repaireres (7332) 가전제품 서비스 수리원  
100 Electrical mechanics(7333) 전기 수리원  
101 Motorcycle, all-terrain vehicle and other related mechanics (7334) 오토바이, ATV 관련 정비사  
102 Other small engine and small equipment repairers (7335) 그 외 소형 엔진 및 소형 장비 정비원  
103 Railway and yard locomotive engineers (7361) 철도기사, 기관사  
104 Railway conductors and brakemen/women (7362) 열차승무원, 보조차장  
105 Crane operators(7371) 크레인 조종원  
106 Drillers and blasters – surface mining, quarrying and construction (7372) 시추 및 파쇄기사 -노천채광, 채석, 건설  
107 Water well drillers (7373) 지하수 굴착 기술자  
108 Printing press operators (7381) 인쇄기 조작원  
109 Other trades and related occupations, n.e.c (7384) 그 외 관련 직업 종사자  
110 Supervisors, logging and forestry (8211) 벌목, 산림 관리자  
111 Supervisors, mining and quarrying(8221) 광산, 채석 관리원  
112 Contractors and supervisors, oil and gas drilling and services (8222) 오일, 가스 채굴 서비스 종사자  
113 Underground production and development miners (8231) 지하자원 채굴원  
114 Oil and gas well drillers, servicers, testers and related workers (8232) 유정/가스정 채굴, 시험 및 관련 종사자  
115 Logging machinery operators (8241) 벌목기기 조작원  
116 Agricultural service contractors, farm supervisors and specialized livestock workers (8252) 농업, 농장관리 및 특수 가축 종사원  
117 Contractors and supervisors, landscaping, grounds maintenance and horticulture services (8255) 조경, 토양관리, 원예, 서비스업 종사자  
118 Fishing masters and officers (8261) 조업선박 선장 및 선원  
119 Fishermen / women (8262) 수산물 채취원  
120 Supervisors, mineral and metal processing (9211) 광물, 금속가공 관리자  
121 Supervisors, petroleum, gas and chemical processing and utilities (9212) 정유, 가스, 화학제품 처리 및 설비 관리원  
122 Supervisors, food, beverage and associated products processing (9213) 식품, 음료 및 관련 가공제품 관리자  
123 Supervisors, plastic and rubber products manufacturing (9214) 플라스틱, 고무제품 제조 관리자  
124 Supervisors, forest products processing (9215) 목재 가공 관리자  
125 Supervisors, textile, fabric, fur and leather products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9217) 섬유, 모피, 가죽 제품 가공 및 제조 관리자  
126 Supervisors, motor vehicle assembling (9221) 자동차 부품 조립관리자  
127 Supervisors, electronics manufacturing (9222) 전자제품 제조 관리자  
128 Supervisors, electrical products manufacturing (9223) 전기제품 제조 관리자  
129 Supervisors, furniture and fixtures manufacturing (9224) 가구 및 부착물 제조 관리자  
130 Supervisors, other mechanical and metal products manufacturing (9226) 그 외 기계 및 금속제품 제조 관리자  
131 Supervisors, other products manufacturing and assembly (9227) 그 외 제품 제조 및 조립 관리자  
132 Central control and process operators, mineral and metal processing (9231) 광물 및 금속가공 중앙 제어 및 처리기사  
133 Petroleum, gas and chemical process operators (9232) 석유, 가스 및 화학물 처리기사  
134 Pulping, papermaking and coating control operators (9235) 펄프, 제지 및 코팅관리 종사원  
135 Power engineers and power systems operators (9241) 발전기 및 전력 관련 기사  
136 Water and waste treatment plant operators (9243) 폐수 처리장치 조작원  
137 Chefs(6321) 전문 요리사  
138 Cooks(6322) 일반 요리사  
139 Butchers, meat cutters and fishmongers - retail and wholesale (6331) 정육원, 수산물 판매업자(소매,도매업)  
140 Bakers (6332) 제빵사  
독일의 해외부족직군
일반현황

독일 노동시장 현황

독일은 하르츠 개혁(Hartz reforms, 2002~2005) 등의 광범위한 노동시장제도 개혁을 실행하고 이후 2008~09년의 대불황 시기에 놀라울 정도의 안정적인 고용성과를 보임. 실제 독일의 실업률은 2005년 11%대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낮아져 2013년 4분기에 5.3%까지 떨어짐

독일의 경제적 및 고용성과에는 상당한 임금인상 억제(wage moderation)와 생산성 상승의 지속 그리고 유로존의 환율 이득 등에 의한 국제 경쟁력강화 등이 크게 기여함

그러나 이러한 성과 이면에 소득불평등 및 상대적 빈곤의 위험은 별로 감소되지 못했고 특히 하르츠개혁 이후 독일은 미니잡 및 저임금 불안정 고용이 큰 폭으로 증가함

이에 비해 OECD의 많은 국가들과 달리 경직적인 고용보호법의 미진한 개혁은 소득 불평등과 노동시장의 원활한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독일 경쟁력 강화에 부담으로 작용함

이러한 저임금 근로계층의 큰 폭의 증가 및 소득불평등에 대비해 최근 재집권에 성공한 메르켈 정부는 2015년 1월 1일부터 전 산업영역에 적용되는 법정 최저 임금제를 시행함. 참고로 독일은 지금까지 대부분의 EU국가들과 달리 전국적 수준의 어떠한 최저임금제도 가지고 있지 않았음

노동공급의 증가

독일의 인구는 급속한 고령화를 겪고 있음. 2050년까지 65세 이상이 거의 3명 중 1명(32.3%)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2011년 현재 20.6%), 생산가능 인구 (15~64세)는 14.8%까지 떨어질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이는 경제성장과 공적 사회지출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것임

따라서 OECD(2014)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동공급증가 방안으로

1) 연금 개혁 및 훈련기회의 증대 등을 통한 고령근로자들의 고용증가 등과 같은 근로 인구의 확장
2) 육아 시설 등의 해결에 의한 여성 전일제 노동참가 유인 제고
3) 특히 중간숙련의 외국인 근로자들을 고용하기 위한 각종 절차의 간소화 및 이들에 대한 통합 기능의 제고 등을 위한 개혁을 주문함

신고용법시행령(26조) 2013년7월1일부터 발효되어 안도라, 호주, 이스라엘, 일본, 캐나다, 대한민국, 모나코, 뉴질랜드, 산마리노, 미국 국민에 대해서는 고용주의 소재지와 관계없이 고용활동을 위한 (체류)허가가 발급됨

올해 코부르크 대학교와 독일 노동시장 및 직업연구소(IAB)의 발표를 인용한 '슈피겔'(Spiegel)의 보도에 따르면, 독일내의 부족한 노동인력을 채우기 위해서는 최소 10년 동안 매년 평균533,000명의 이민자(외국인 근로자)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한국인들의 취업유망분야(직종)

ㆍ취업유망분야(직종) : 보건사회서비스, 법률회계, 컨설팅, 엔지니어, 의사, IT 분야
ㆍ독일연방통계청의 자료에 의거 2025년까지 500만 명 이상의 추가 전문 인력이 필요할 전망

부족직군 현황

‘15.6.30 기준, www.arbeisagentur.de(독일 연방노동청 홈페이지)에 따르면 숙련 분야 중심 총 24개의 부족직군 제시됨

ㆍ 전문인력 결핍현상을 보이는 10개 직업 중 5개는 소위MINT 직업(MINT-Berufe – Mathematik, Informatik, Naturwissenschaft und Technik, 수학, 컴퓨터과학, 자연과학및기술)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메카트로닉스, 전기 및 항공우주기술엔지니어 및 보건분야(전문간호사, 간병인, 의사)에 전문인력 부족현상을 보이고 있음

부족직군 요구 수준

ㆍ자격 레벨 2 (Skilled worker, 숙련 노동자) : 적어도 2년의 직업 훈련을 필요로 하거나 유사한 자격의 전문적 직업에 해당
ㆍ자격 레벨 3 (Skilled worker, 전문가) : 전문 지식과 일반적으로 마스터 장인 또는 엔지니어로 또는 동등한 기술 대학 학위와 같은 훈련 기간 동안 취득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직업을 포함

부족직군 현황
순번 부족직군 자격수준
영어 내지 원문 한글번역
1 26112 Berufe in der Mechatronik 26112 메카트로닉스 직종 Skilled worker
2 26113 Berufe in der Mechatronik 26113 메카트로닉스 직종 Specialist
3 26122 Berufe in der Automatisierungstechnik 26122 자동화 기술 직종 Skilled worker
4 26123 Berufe in der Automatisierungstechnik 26123 자동화 기술 직종 Specialist
5 26212 Berufe in der Bauelektrik 26212 건설전자 직종 Skilled worker
6 26222 Berufe in der Elektromaschinentechnik 26222 전기기계공학 직종 Skilled worker
7 26252 Berufe in der elektrischen Betriebstechnik 26252 전기산업공학 직종 Skilled worker
8 26262 Berufe Leitungsinstallation,-wartung 26262 파이프 설치 및 유지 보수 직종 Skilled worker
9 26303 Berufe in der Elektrotechnik (ohne Spezialisierung) 26303 전기(전문성 없는) 직종 Specialist
10 26393 Aufsicht - Elektrotechnik 26393 감독 - 전기 직종 Specialist
11 34202 Berufe in der Klempnerei (ohne Spezialisierung) 34202 배관(전문성 없는) 직종 Skilled worker
12 34212 Berufe Sanitär-, Heizungs-, Klimatechnik 34212 위생, 냉난방 기술 직종 Skilled worker
13 34213 Berufe Sanitär-, Heizungs-, Klimatechnik 34213 위생, 냉난방 기술 직종 Specialist
14 34232 Berufe in der Kältetechnik 34232 냉동 기술 직종 Skilled worker
15 34293 Aufsichtskräfte - Klempnerei, Sanitär, Heizung, Klima 34293 감독 - 배관, 위생, 난방, 공기 직종 Specialist
16 51113 Berufe im technischen Eisenbahnbetrieb 51113 철도운영 기술 직종 Specialist
17 51222

Berufe in der Überwachung und Wartung der

Eisenbahninfrastruktur

51222 철도 인프라 모니터링 및 유지 보수 전문 직종 Skilled worker
18 51522 Berufe Überwachung des Eisenbahnverkehrsbetriebs 51522 철도 운영 모니터링 전문직 직종 Skilled worker
19 52202 Triebfahrzeugführer Eisenbahnverkehr 52202 철도 차량 운전자 직종 Skilled worker
20 81302 Berufe Gesundheits-, Krankenpflege (ohne Spezialisierung) 81302 보건 및 간호(전문성 없는) 직종 Skilled worker
21 81313 Berufe in der Fachkrankenpflege 81313 간호 전문 직종 Specialist
22 81332 Berufe operations-/med.-techn. Assistenz 81332 수술 기술 / 의료 기술 지원 직종 Skilled worker
23 82102 / 82182 Berufe in der Altenpflege 82102 / 82182 노인 케어 전문 직종 Skilled worker
24 82183 Berufe in der Altenpflege 82183 노인 케어 전문 직종 Specialist
부족직군 관련 현지정부차원 혜택

해외 인재의 취업과 이민을 제한 등으로 보수적인 이민정책을 고수해 온 독일은 저출산·고령화, 우수 과학기술 인재 부족 등으로 이민자 도입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몇 차례에 걸친 해외 인재 관련 제도 개정을 통해 외국인 인재의 범주 확대, 해외 인재 가족에 대한 취업 허용, 영주권 지원 자격 부과와 같은 혜택을 부여하고 있음

2012년 8월 1일자로 외국인 전문 인력에 대한 취업 및 체류 허가 제도인 ‘블루카드 제도’가 도입되어 외국인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던 자격 요건이 대폭 완화됐고 영주 허가 획득에 필요한 체류 기간도 단축됨

특히 IT 산업 종사자, 엔지니어 등의 취업을 장려, 블루카드제도 운영

ㆍ대학 졸업자로 세금공제 전 연봉이 최소 2014년 기준 연봉 47,600유로 이상인 근로자에 발급, 블루카드 보유자는 일정기간 후 영주권 신청 가능
ㆍ제3국 출신의 고학력 전문 인력이 필요한 MINT직종(MINT-Berufe - Mathematik, Informatik, Naturwissenschaft und Technik. 수학, 컴퓨터과학, 자연 과학 및 기술)의 경우 낮은 급여 제한이 적용되어 세금공제 전 연봉이 최소 37,128유로 이상인 근로자에 발급

해외 우수 연구자 유치를 위한 제도로 연구자들의 장기간 방문 연구를 지원하는 훔볼트 펠로십이 있으며 이 제도는 독일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학술 재단인 훔볼트재단이 신진 또는 중견 연구자에 대해 연구 교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일정 금액의 체류·연구비를 지원함

정부가 운영하는 ‘독일에서의 연구’, ‘유라제스 독일’, ‘해외 전문 인력 유치 계획(fachkraefte-offensive.de)’,‘메이크잇인저머니닷컴(make-it-in-germany.com)’ 등을 통해 연구자를 포함한 해외 인재에게 독일에서의 취업 기회, 이주 시 필요한 요건, 독일 내 생활 여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일본의 해외부족직군
일반현황

(경제동향)정부 주도의 경기회복

ㆍ2010년대 초반까지 일본은 거품경제붕괴와 동일본대지진, 미국발 세계경제불황에 따른 수출감소 등 여러 악재로 인한 장기불황 상황
ㆍ아베정권의 적극적인 대(對)기업투자와 공공재정 지출확대 등으로 내수활성화 추세

(산업동향)복지‧장기요양‧IT 등 미래 산업에 대한 관심 대두

ㆍ후생성 인력개발국(Human Resources Development Bureau)은 복지‧IT산업 진흥을 통한 노동생산성 향상을 장기적인 경제발전의 주요 미션으로 설정

(인력동향)제조업 분야 숙련기술 보유인력에 대한 수요

ㆍ인구감소 및 고령화로 경제활동인구수가 감소함에 따라 외국인력에 대한 수요 증가
ㆍ후생성 홈페이지에 게시된 2013년도 인력관리에 관한 연구* 결과 “(지식과 기술의)지도를 할 만한 인력의 부족” 지적, 일본의 성장 동력인 제조업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 및 지식을 보유한 인력 양성의 중요성 강조
* Release of Results of the Fiscal 2013 Basic Survey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부족직군 현황
부족직군 현황
순번 부족직군 비고
영어 내지 원문 한글번역
- ..personnel with advanced skills and knowledg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제조업 분야의 숙련 기술 및 지식을 보유한 인력  
- long-term care, welfare 장기요양치료, 복지 관련 종사자  
- IT IT 전문인력  
부족직군 관련 현지정부차원 혜택

“ 고급인력 외국인*”에 대한 체류기간연장 및 영주권 신청요건 완화

* 학술, 전문‧기술, 경영관리 분야 중 선택하여 해당분야에서 신청자의 학력‧경력‧ 연봉‧나이‧기타실적별 포인트를 산정, 최종 70점 이상인 외국인

IT업종 취업시 국내 정보처리(산업)기사 자격증 소유자 및 관련분야 전공자는 일본 취업비자 발급이 용이

싱가포르의 해외부족직군
일반현황

고용 동향

ㆍ`14년까지 전반적으로 고용률 상승, 산업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 하락세, 서비스업은 대폭 상승, 다만, 건설업의 경우 `15년 공공 부문 건설업 호황으로 소폭 상승

산업별 고용률 변화

(단위 : %)

산업별 고용률 변화
  2011 2012 2013 2014
전체 122.6 129.1 136.2 130.1
제조업 3.4 11.4 5.3 -4.4
건설업 22.0 39.1 35.2 14.3
서비서업 96.1 77.0 94.1 119.7

* 출처: 싱가포르 인력국 통계 자료

고용 동향

고급인력에 속하는 관리직, 교수직, 기술직에 대한 구인 수요 대폭 증가

ㆍ리조트 건설, 건강 및 사회 서비스의 성장으로 미숙련 근로자인 사무, 판매, 서비스직 수요 유지(소폭 하락), 이에 따라, 청소부, 인부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 다만, 생산, 교통 운영직에 대한 구인 수요 감소로 동일 직군 내 상쇄 효과

인력 수준별 구인 수요 변화

(단위 : %)

인력 수준별 구인 수요 변화
구분 상세구분 2004 2014
고급인력 교수, 관리자 및 간부 27.0 30.1
부교수, 기술자 19.0 23.0
미숙련 근로자 사무, 판매, 서비스 종사자 26.0 24.8
생산, 교통 운영, 청소부, 인부 28.0 22.1

* 출처: 싱가포르 인력국 통계 자료

외국인력 정책동향

ㆍ고급 인력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외국 인력보다 자국민의 전문직(PEMs)* 취직 독려**,
* PEMs: Profession, Executive, Manager 등의 전문직
** WDA(Workforce Development Agency: 싱가포르 인력부 산하 법정 위원회)를 통해 구인 및 알선 수행(`15.10.1일부터 2년간) 및 EP 발급 보안 강화 예정

ㆍ자국민 기피 직종인 건설, 제조, 해양, 가공, 서비스업에 외국 인력을 수급하기 위해 숙련 인력의 최대 고용 기간*을 연장, 외국 인력 부담금을 동결하였으나, 북 아시아(한국 포함)인에게는 해당되지 않음
* 건설, 해양, 가공업 18년→22년

결론

ㆍ외국 인력의 유입이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으로 개방 정책 유지, 자국민 기피 업종에 최근 인건비가 저렴한 인도, 스리랑카, 태국, 방글라데시 등의 외국 인력 유치 노력(최대 고용 기간 연장 등)

ㆍ고급인력에 대한 수요 증가, 그러나, 자국민 우선 고용 정책으로 EP나 SP 발급에 대한 요건 강화 가능성 증대

ㆍ미숙련 근로자와 고급인력 군에서 한국인에 대한 구인 수요는 점점 봉쇄되고 있지만, 호텔 및 리조트 사업의 발전으로 서비스업에서 한국인 인력 수요는 건재

부족직군 현황
부족직군 현황
순번 부족직군 비고
영어 내지 원문 한글번역
1 There were faster employment growth for residents in associate professional & technician and clerical, sales & service jobs in the recent five years (2009 to 2014) than in the preceding five years (2004 to 2009). The faster increase in clerical, sales & service workers was supported by the opening of the integrated resorts and demand for healthcare/social services. The number of residents employed as production & transport operators, cleaners & labourers increased in the recent five years, after dipping in the earlier five years. This reflects the increase for cleaners, labourers & related workers, which more than offset the decrease for production & related workers. 지난 5년(`04~`09년)보다 최근 5년(`09~`14년)간 빠르게 거주자들의 부교수, 기술자 그리고 사무, 판매 및 서비스 직무에 대한 고용 성장이 있었다. 사무, 판매 및 서비스 근로자의 빠른 성장은 통합 리조트의 등장이나 헬스케어/사회 서비스에 대한 수요로 인해 이루어졌다. 생산&교통 운영직, 청소부&인부로 고용된 거주자들의 수는 앞선 5년 간의 정체기 후 최근 5년 간 증가했다. 이는 청소부, 인부&관련 근로자들의 상승이 생산&관련 근로자들의 감소를 상쇄시킨 것을 반영한다.  
2 Foreigners have a higher employment share in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where many of them take up jobs that are labour-intensive, have more demanding working conditions (e.g. clean-room environment and 12-hour shifts) and hence are less attractive to Singapore citizens. Less than half (44%) of the employed in manufacturing were Singapore citizens in December 2006. The share of foreigners and permanent residents in manufacturing were 45% and 11% respectively. In construction, foreigners made up the majority or three out of five persons (61%) employed in the sector. 외국인은 힘든 근로 조건(예, 룸 청소, 12시간 교대 근무 등)으로 싱가포르 시민들이 선호하지 않는 노동집약적 일자리인,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높은 고용율을 보인다. 2006년 12월, 제조업에 취직한 사람의 44%는 싱가포르 시민들이었다. 제조업에서 외국인과 영주 거주자의 고용율은 각각 45%, 11%이었다. 건설업에서는 5명 중 3명(61%) 또는 대부분이 외국인이 차지했다.  
3 MOM will increase scrutiny of EP applications for selected firms which have a weaker Singaporean core of PMEs relative to others in their industry. MOM will require these employers to submit more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Singaporeans were considered fairly. 싱가포르 인력부는 전문 인력 군에 관련된 전문직에 싱가포리안을 채용하지 않는 회사들에 대한 EP 발급 보안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 부처는 이들 고용주에게 싱가포리안들이 충분히 고려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제출해줄 것을 요구할 것이다.  
4 For mature Singaporean PMEs who experience greater difficulties in finding jobs, WDA will collaborate with and provide incentives to private search and placement firms to help these PMEs access more job opportunities. Individuals can seek the help of these firms directly, without going through WDA. This initiative will be launched on 1 October 2015 and will run for two years. 구직에 어려움을 겪는 싱가포리안 전문 직군들을 위해, WDA(Singapore Workforce Development Agency)가 도움을 줄 것이다. 개인은 WDA 말고로, 회사를 직접적으로 찾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인센티브는 2015년 10월 1일부로 개시되고 추후 2년동안 운영될 것이다.
5 MOM expects firms to systematically develop their Singaporean PMEs. To complement Singaporean PMEs, foreign PMEs should be of suitable quality and experience. We will refine work pass controls in the following ways to better select for such candidates.. MOM currently assesses foreign PMEs based on a combination of qualifications, experience and salary. MOM bans applicants with forged qualifications from working in Singapore for life. We will take a further step of rejecting work pass applications which contain doubtful qualifications such as those from degree mills. We will also pay more attention to the relevant experience of EP and S pass applicants, especially for those applying for professional occupations. MOM intends to progressively encourage and facilitate the transfer of expertise to Singaporean PMEs over time. 인력부는 회사들에게 싱가포리안 전문직을 조직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싱가포리안 전문직을 확보하기 위해서, 외국인 전문직은 꼭 적합한 수준과 경험을 가져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후보들을 더 잘 선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Work Pass Control을 개선할 것이다. 인력부는 현재 외국인 전문직을 수준, 경험 및 봉급을 합친 기준으로 접근하고 있다. 인력부는 위조된 수준(qualification)의 신청자들이 평생 싱가포르에서 일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는 더 나아가, 학위 위조 같은 의심스러운 수준을 가진 Work Pass 신청자들을 거절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다. 특히 전문 직업을 신청하는 사람들인 S Pass, EP 신청자들에게는 관련 경험에 대해 더 큰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인력부는 싱가포리안 전문직으로의 교체를 점진적으로 고무시키고 있다.
6 The current maximum Period of Employment (POE) for ‘Higher Skilled’ (R1) Work Permit Holders (WPHs) from Non-Traditional Sources1 (NTS)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in the Construction, Marine and Process sectors is 18 years. From 1 May 2014, the Ministry of Manpower (MOM) will extend the maximum POE for R1 WPHs in these sectors to 22 years to encourage firms to retain their trained and experienced WPHs for longer periods. 현재 건설, 해양 및 공정 분야에 있는 중국(PRC)과 비-본국(NTS)출신의 ‘숙련 인력(R1)’ Work Permit 소시자(WPHs)에 대한 최대 고용기간(POE)은 18년이다. 2014년 5월 1일부로, 인력부는 회사들이 숙련되고 경험 있는 WPH들을 장기간 보유할 수 있도록 R1 WPH소지자들의 최대 고용 기간을 22년으로 늘리기로 했다. 한국인은 해당되지 않음
7 From 1 July 2016, the foreign worker levy rate for R2 Construction WPHs on Man-Year Entitlements7 (MYEs) will be increased from $600 to $700. The foreign worker levy rate for R1 WPHs will remain unchanged in 2016. 2016년 7월 1일부로, 외국인 R2(Basic Skilled) 건설 WPH들에 대한 부담금이 $600에서 $700로 인상될 것이다. R1 WPH에 대한 고용 부담금은 2016년에도 변동이 없을 예정이다. 한국인은 해당되지 않음
호주의 해외부족직군
일반현황

호주의 주요 산업은 광산업과 농업이나, 최근 광산업과 자동차산업으로 대변되는 제조업은 침체

ㆍ그러나 호주 달러 가치하락으로 인한 관광객·학생의 유입으로 관광업의 상승세는 두드러짐
※ 전년도 대비 관광업 수출 11% 증가(`15.5월 기준)
※ `15.6월 단기방문자는 612,700명으로, 전년도 동월 대비 6.6% 증가

금년도 호주의 경제성장률은 1.75%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이나, 내년도 이후 LNG(액화천연가스)의 수출로 급호전될 것으로 예상됨

14년도 호주 이민 유입인원은 473,500명으로, 전년도보다 5.3% 감소

ㆍ `14.7. ~ `15.7. 취업자는 2.1%(이중 풀타임 32.2%) 증가하였으나 실업자는 4.1% 증가. 대졸 풀타임 취업자는 08년 국제금융위기 이후 지속적 하락(08년도 80% → 14년도 68%)하여 호주의 노동시장은 다소 악화된 것으로 파악
※ ‘15.6월말 기준, 호주의 실업률은 6.3%(800,700명)

15년도 기준, http://www.border.gov.au/(호주 이민성 홈페이지)에 따르면, 의료·건축·IT업종의 인력이 가장 부족한 상황.

부족직군 현황
부족직군 현황
순번 부족직군 비고
영어 내지 원문 한글번역
1 Construction Managers 건설 관리자  
2 Engineering Managers 공학 관리자  
3 Production Managers 생산 관리자  
4 Child Care Centre Managers 육아교육센터 관리자
5 Health and Welfare Services Managers 보건복지 서비스 관리자
6 Accountants 회계사  
7 Auditors, Company Secretaries and Corporate Treasurers 회계, 총무 담당자  
8 Actuaries, Mathematicians and Statisticians 보험계리인, 수학자, 통계학자  
9 Land Economists and Valuers 토지경제학자  
10 Marine Transport Professionals 해운 전문가  
11 Architects and Landscape Architects 건축가  
12 Cartographers and Surveyors 지도 제작자, 측량사  
13 Chemical and Materials Engineers 화학, 재료 기술자  
14 Civil Engineering Professionals 토목공학 전문가  
15 Electrical Engineers 전기 기술자  
16 Electronics Engineers 전자공학 기술자  
17 Industrial, Mechanical and Production Engineers 산업, 기계, 생산 기술자  
18 Mining Engineers 광산 기술자  
19 Agricultural and Forestry Scientists 농업, 임업 연구원  
20 Medical Laboratory Scientists 의학 연구원  
21 Veterinarians 수의사  
22 Early Childhood (Pre-primary School) Teachers 보육 교사  
23 Secondary School Teachers 중등학교 교사  
24 Special Education Teachers 특수교육 교사  
25 Medical Imaging Professionals 의료영상 전문가  
26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Professionals 환경 위생 전문가  
27 Optometrists and Orthoptists 검안사  
28 Chiropractors and Osteopaths 척추 지압사, 접골사  
29 Occupational Therapists 작업 요법사  
30 Physiotherapists 물리 치료사  
31 Podiatrists 발 치료사  
32 Speech Professionals and Audiologists 담화 전문가, 청력학자  
33 General Practitioners and Resident Medical officers 전문직 종사자  
34 Anaesthetists 마취과 의사  
35 Internal Medicine Specialists 내과 의사  
36 Psychiatrists 정신과 의사  
37 Surgeons 외과 의사  
38 Midwives 조산사  
39 Registered Nurses 간호사  
40 ICT Business and Systems Analysts ICT 분석가  
41 Software and Applications Programmers 소프트웨어, 앱 프로그래머  
42 Computer Network Professionals 컴퓨터 네트워크 전문가  
43 Telecommunications Engineering Professionals 무선통신공학 전문가  
44 Barristers 법정 변호사  
45 Solicitors 사무 변호사  
46 Psychologists 심리학자  
47 Social Workers 사회복지사  
48 Civil Engineering Draftspersons and Technicians 토목공학 기술자  
49 Electrical Engineering Draftspersons and Technicians 전기공학 기술자  
50 Telecommunications Technical Specialists 무선통신 기술자  
51 Automotive Electricians 자동차 기술자  
52 Motor Mechanics 모터 정비공  
53 Sheetmetal Trades Workers 판금 기술자  
54 Structural Steel and Welding Trades Workers 구조용 강재, 용접 기술자  
55 Metal Fitters and Machinists 금속설비기계 기술자  
56 Precision Metal Trades Workers 정밀금속 기술자  
57 ​Panelbeaters 패널 기술자  
58 Bricklayers and Stonemasons 벽돌공, 석공  
59 Carpenters and Joiners 목수, 소목장이  
60 Painting Trades Workers 페인팅 기술자  
61 Glaziers 유리시공 기술자  
62 Plasterers 미장이  
63 Wall and Floor Tilers 타일 기술자  
64 Plumbers 배관공  
65 Electricians 전기 기사  
66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Mechanics 에어컨, 냉장고 수리공  
67 Electrical Distribution Trades Workers 배전 기술자  
68 Electronics Trades Workers 전자장치 기술자  
69 Chefs 요리사  
70 Boat Builders and Shipwrights 조선공  
71 ​Cabinetmakers 소목장  
72 Dental Hygienists, Technicians and Therapists 치과 위생사, 의사, 치기공  
베트남의 해외부족직군
일반현황

(산업 동향) 풍부하고 저렴한 노동력을 기반으로 외국투자기업(FDI)이 주도하는 섬유의류산업이 전체 제조업 총생산액의 10%, 총 수출액의 14% 차지, 그밖에 신발제조, 석유화학, 철강, 휴대전화/통신 산업 발달

(경제 동향) 대내외 경제 안정화를 바탕으로 2012년 이후 점진적 회복세

ㆍ베트남 경제에서 외국인직접투자(FDI)가 기여하는 부분이 절대적으로 국내총생산의 약 20%, 전체 수출의 68%, 수입의 57% 차지
ㆍFDI의 50%는 제조업이고 대부분 수출을 목적으로 진출
* 최근 GDP : 2011(6.2%) → 2012(5.2%) → 2013(5.4%) → 2014(5.6%) → 2015(6.2% 예상)

(외국인력 고용동향) 숙련 고급 인재 부족으로 건설, 금융, IT 직종 등 전문 숙련 인력에 대한 외국인 고용 수요가 존재하나 베트남 정부는 최근 외국인 노동허가 발급요건 강화

* 2014년 3월, 베트남에서 근무하는 외국인근로자에 관한 시행령(102/2013/ND-CP), 동 시행규칙(03/2014/TT-BIDTBXH) 개정을 통해 전문가 인정 요건을 학사 학위 이상 또는 5년 이상 경력 요구에서 학사 학위와 함께 5년 이상의 경력 요구, 기술자 인정 요건도 1년 이상 기술훈련과 함께 3년 이상의 경력 동시 요구로 변경
* 관리자 운영책임자에 대해서도 경력자만 인정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가 2014년 7월 경력유무에 상관없이 학사학위 소지자에 대하여 발급하는 것으로 발급요건 완화

부족직군 현황
부족직군 현황
순번 부족직군 비고
영어 내지 원문 한글번역
1 한국진출기업의 중간관리자 및 기술직
2 건설, 금융, IT, 서비스 등
인도네시아의 해외부족직군
일반현황

(산업 동향) 인도네시아는 석유/석탄 등 천연자원부국으로 제조업 46.5%, 서비스업 38.1%, 농업 15.4%의 산업구조

- 최근 전기/가스/수도, 교통통신, 무역/호텔/요식업, 금융/부동산업이 크게 성장

(경제 동향) 원자재 가격 약세 지속에 따라 2009년 이후 최저 수치 기록, 거대한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5%대의 GDP 성장률 유지

* 최근 GDP : 2011(6.5%) → 2012(6.2%) → 2013(5.8%) → 2014(5%) → 2015(4.7%, 1분기)

(외국인력 고용동향) 진출 한국기업 많아 채용 수요는 상존하나 인도네시아어 구사가 필수 조건이고 3~5년 이상 거주한 현지실정을 잘 아는 중간 관리자 선호

(외국인 취업비자) 최근 외국인 취업 비자 발급요건 강화

* 2012년 인력이주부 결정령 제464호 - 서비스/무역/컨설팅/마케팅/품질관리 자문직과 전문대 학력 이하, 경력 5년 미만의 정비 기술직에 6개월 취업비자 발급
(기존 1년)
* 2014년 금융, 교육, 종교, 의료보건, 광물자원개발 분야는 관련부처와 노동부가 비자발급 공동 심의(일부 산업에 대한 외국인고용 제재)
* 2014년 6월 - 나이 25세 미만과 50세 이상의 외국인에게 6개월 취업비자 발급(기존 1년)
* 2015.1.14. 제15호 노동부장관령 - 신발산업 외국인 취업허가 취득 가능 직위를 규정하여 일반 관리직원은 2년 이후 연장불가(2017년부터 시행)
* 2015.1월. 모든 외국인력에 대한 인도네시아어 능력시험 의무화 도입하기로 했다가 철회
* 2015.6.29. 제16호 노동부장관령 개정 - 외국인 1명 당 인도네시아인 10명 이상 고용 의무화

부족직군 현황
부족직군 현황
순번 부족직군 비고
영어 내지 원문 한글번역
1 진출 한국기업 중간관리자
2 플랜트 엔지니어
3 금융 및 보험
중국의 해외부족직군
요약

(산업 동향) 세계 인구 1위(2013년 기준 13억 6천만명)로 거대한 내수 시장 보유, 대외개방 전략으로 외자기업을 통한 수출 확대 및 외자도입 정책으로 단기간 세계 최대의 섬유․의류․전자제품 수출국으로 부상

(경제 동향) 지속해서 고속 성장하였으나 최근 증시 폭락, 부동산 불안, 투자 부진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둔하되었으나 거대 규모의 내수시장 및 중국 정부의 강도 높은 경제 개혁 추진으로 7%대의 지속적인 경제성장률 관망

* 최근 GDP : 2011(9.2%) → 2012(7.8%) → 2013(7.7%) → 2014(7.4%) → 2015(7%, 1분기)

(외국인력 고용동향) 외국계 투자기업뿐만 아니라 현지기업에서도 해외 전문인력 채용 희망, 외국인이 가장 많이 취업하는 지역은 상하이-베이징-광저우 순이며 고급 관리직 및 고급 기술자 등이 많은 편

ㆍ중국 내수시장 확대로 서비스업 및 유통분야 한국기업 진출 증가하여 제빵/외식/의류/유통직종에서 지속적인 채용 수요 존재

(취업비자 발급 요건) 학사 이상의 학력과 함께 졸업 후 근무 경력 2년 이상 필요, 유학생의 경우 중국 내 졸업 후 바로 취업하지 못함

부족직군 현황
부족직군 현황
순번 부족직군 비고
영어 내지 원문 한글번역
1 TECHNICIANS/ENGINEERS 기술자
2 SALES REPRESENTATIVES/MANAGERS 영업
3 MANAGEMENT/EXECUTIVE 운영/관리
4 LABORERS (비숙련)노동자
5 SKILLED TRADES (경력직)무역
6 IT PERSONNEL IT
7 PRODUCTION OPERATORS/MACHINE OPERATORS 생산관리
8 RESEARCHERS(R&D) (R&D)연구원
아랍에미리트의 해외부족직군
일반 현황

민간부문 노동력의 90% 이상이 외국인 노동자로 구성되어 있음

자국민 사기업 고용비중이 4%대에 불과하여(‘12년 기준), 외국인 고용 증진보다는 자국민 고용증진에 힘쓰고 있음

연방법에 의거하여 노동법은 자국민과 외국인을 막론하고 UAE내에서 노동활동을 하고 있는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됨

*고용법은 고용계약, 계약의 유지, 임금, 근로시간, 휴가, 고용인안전보장, 의료보험, 산업재해, 고용의 해지에 이르기까지 고용주와 고용인간의 관계의 모든측면을 다룸

UAE의 임금 상승 전망치는 GCC 평균치인 5.1%보다 다소 낮은 4.6% 수준

UAE는 별도로 부족직군에 대한 정보를 찾지 못함

ㆍUAE는 외국인에 대한 영주권이나 시민권제도가 없어 고용부 및 이민국에서 별도로 부족직업군에 대하여 공시하는 정보를 찾을 수 없음

2013년도 UAE 노동시장 구성은 건설 34.3%, 무역 및 수리23.8%, 제조10.9%, 부동산 임대 비즈니스 서비스 10.4% 순으로 건설이 압도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민간부분과 노동부에 등록된 국외거주자의 Skill Level에 따른 분류
민간부분과 노동부에 등록된 국외거주자의 Skill Level에 따른 분류
Year 2012 2013 2014
skill level
Specialist 301,600 324,800 370,300
Technician 102,600 109,500 125,300
Professional 377,500 377,800 411,700
Skilled Worker 1,198,500 1,191,200 1,318,100
Elementary Occupations 2,042,500 2,023,400 2,191,700
Tatal 4,022,800 4,026,800 4,417,200

* UAE 노동부 홈페이지 참조

외국인 노동자들의 기술 수준은 초급수준이 대다수를 차지, 인건비가 저렴한 제3국인들이 주요 고용되는 형태를 띔

취업유망직군 현황

국가혁신전략 선포에 따라 관련 분야 고용 증대 예상되며, 특히 신재생에너지 분야 관련 고용 증대 예상

UAE 취업유망분야로는 건설 플랜트 부문으로 건설 플랜트 공사 시공 엔지니어, 중간관리자, 장비기술자 등

석유, 가스 분야로 원유 및 시추 엔지니어

국가혁신전략 선포에 따라 관련 분야 고용 증대 예상되며, 특히 신재생에너지 분야 관련 고용 증대 예상

IT 분야 보안전문가, 인트라넷 개발자, 금융분야 보안 및 모바일 앱 개발자, IT 프로그래머, 웹 마스터, DB 관리자

항공 및 호텔 분야로 항공기 승무원, 지상직 직원, 항공기 정비사, 호텔 고객 접점 부서, 관리, 주방, 영업, 중간관리자

보건 의료 분야로 전문의, 간호사, 간호보조, 방사선사, 병원 행정인력, 제약관련 연구원 등

카타르의 해외부족직군
일반 현황

(경제동향) 에너지산업에 의존하여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루었지만 저유가 현상 지속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로 2022 카타르 월드컵과 카타르 비전 2030**을 통해 에너지-지식기반 산업 간 균형을 도모하고자 함

* ‘05~’09 중 실질 GDP 증가율은 평균 17.4%를 기록, 미국에 이은 유럽 발 경제위기에도 10%이상 GDP 성장률을 기록하였고 ‘12 6.2%로 성장세가 둔화되었으나 비교적 빠른 경제성장을 보임
**‘08.10 카타르가 직면하고 있는 도전과제를 극복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해 2030년까지 선진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미래 청사진을 담은 국가비전(5개 과제 : 현대화와 전통 보존, 관리성장과 자유로운 확장, 환경을 생각한 경제성장과 사회개발, 노동력 개발 및 노동시장 균형 유지, 현 세대와 다음 세대 모두의 욕구 충족)

(산업동향) 가스 및 석유화학분야의 강세와 더불어 2022 카타르 월드컵 유치에 따른 인프라 프로젝트로 부동산 시장이 활황이며 국가 철도, 교량, 교육도시 건설 등에 투자가 집중

(인구현황) ‘15.6 카타르 전체인구가 지난달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고령인구의 증가세가 가팔라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전망

(부족직군 관련) 카타르는 외국인에 대한 영주권이나 시민권제도가 없어 고용부 및 이민국에서 별도로 부족직업군에 대해 공시하는 정보를 찾을 수 없음

ㆍ다만, 월드컵 개최와 인구 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의 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다양한 직종에서 외국인 채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

취업유망직종 정보
취업유망직종 내용
의료분야종사자 카타르 정부가 주도하는 의료보험 의무화로 2016년까지 외국인을 포함한 카타르 영토 내 모든 인구가 보험 대상이 되어 의료분야에 외국인력 대거 채용 예상
항공승무원 카타르 국영항공사인 ‘카타르항공’에 한국인들이 다수 채용되어 근무 중이며 월드컵 개최 등 방문객 증대에 따른 카타르 항공의 성장에 맞춰 꾸준한 수요 예상
에너지 관련 엔지니어 에너지산업이 중추 산업으로서 동 분야의 인력채용 규모가 크고 급여수준도 상위
IT전문가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TAS(세금관리시스템)프로젝트 및 GFMIS(정부재정관리정보체계)프로젝트등 정부 주도의 전산시스템 구축에 따라 현지 진출 가능 예상
건설관련 영업직 월드컵 경기장 건설 및 인프라 시설 건설에 한국 업체들이 활약함에 따라 건설자재 판매뿐만 아니라 용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 고용가능의사를 타진
사우디아라비아의 해외부족직군
일반 현황

사우디아라비아 인구의 3분의 1인 약 972만 명이 외국인이며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등 대부분 제3국 근로자 임

ㆍ사우디 ‘14년 말 기준 총 인구 수는 3,080만 명으로, 이중 외국인 노동자가 1,010만 명으로 33.3%차지(’15.2월 기준)

사우디인의 경우 고교와 대학 졸업자들의 기술 수준과 의욕이 기업이 요구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해 노동 인력의 상당 부분이 외국인 노동자에 의해 충당되고 있음

사우디 ‘12년 실업률이 12.2%였으며, 지속적인 실업률 증가 우려로 자국민의무고용정책(Saudization)실시 및 특정직업 고용제한 정책 실시 등 외국인 고용을 제한함

ㆍ자국민고용정책 시행 후 자국민 고용 비율(7% →15% 증가, ‘15.4월기준) 향후 다운스트림(downstream)산업은 25%→41%, 소·도매상 29%→44%, 대규모 상업회사 29%→66% 의무고용비율 확대 실시 예정이며, 이에 따라 제3국 노동자의 50%이상을 해고해야할 것으로 예상됨

불법체류 외국인 단속을 강화하고 있으며 업체들이 적발될 경우 고용주는 위반 정도에 따라 벌금 또는 징역 2년형, 벌금형과 징역형을 동시 부과하고 있음

사우디아라비아는 남성 중심의 보수적인 이슬람 문화 특성상 여성취업이 제한적이어서 여성 실업률은 28.3%에 달함

사우디아라비아 부족직군에 대한 정보를 찾지 못함

ㆍ사우디아라비아는 외국인에 대한 영주권이나 시민권제도가 없어 고용부 및 이민국에서 별도로 부족직업군에 대하여 공시하는 정보를 찾을 수 없음

취업유망직군 현황

사우디아라비의 취업가능 유망분야로는 대학교수, 엔지니어임

ㆍ엔지니어 분야 : 도로․항만 사회간접자본, 발전, 담수, 화학 및 제조 등 기간사업, 금융, 교육, IT 등 신성장 산업, 신재생 에너지 산업 등

사우디는 수많은 프로젝트를 준비·진행하고 있어 해당 프로젝트와 연관된 직군의 취업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

ㆍ사우디 월간 경제동향(‘15년도 분)에 따른 취업률 증가가 기대되는 사업분야는 하단과 같음

부족직군 취업시 현지정부차원 혜택

현지 외국인 고용 기업들에 Work permit Fee를 환금해 줌으로써 외국인 고용에 따른 부담을 다소 완화시켜 줌

(단, ‘12.11.15 이전에 사우디 정부 프로젝트를 계약하고 수행하고 있는 기업에 한함)

쿠웨이트의 해외부족직군
일반 현황

(경제동향) 제2차 5개년 개발계획 추진으로 무바라크 항만, GCC연결철도, 메트로 등 다수 메가 프로젝트를 비롯해 민간부문육성, 1,080억불에 달하는 공공자금·민간자본 투자, 외자투자유치에 집중하여 성장이 제고될 전망

※ ‘12 6.6%이던 경제성장률이 ‘13부터 평균 1~2%대로 감소하였으나 국가 총수입은 오일달러로 인해 대규모 흑자 시현

(산업동향) 국영석유공사 KPC의 ‘13/‘14 수익은 전년 대비 감소하였지만 플랜트 및 항만건설에 거액 투자가 진행되고 있으며 인근 국가와 국경을 접하고 있어 중계무역이 활발

(고용동향) 자국민과 외국인으로 양분된 노동시장을 형성

자국민 고용의 73%가 정부 공무원과 국영기업의 직원으로 수용되어 있으며 실업률이 낮고 노동시장도 안정적, 임금수준은 다른 국가의 통상임금 수준을 상회
외국인 대부분이 단순노동자이며 건설 분야가 외국인 비숙련노동자의 최대 유입요인으로 분석, 외국인 노동인력은 파키스탄, 필리핀, 인도 등 아시아계 인력과 이집트, 시리아, 이란 등의 아랍계 인력임

(부족직군 관련) 쿠웨이트는 외국인에 대한 영주권이나 시민권제도가 없어 고용부 및 이민국에서 별도로 부족직업군에 대해 공시하는 정보를 찾을 수 없음

ㆍ인도 등 서남아시아 국가 인력과 이집트 등 아랍계 인력이 노동시장에 광범위하게 고용되어 있어 한국 취업 가능 유망분야는 매우 제한적이나,
ㆍ원유집하시설, 원유수송관로, 유류저장고 프로젝트 등의 수주자 결정을 위한 입찰과 총 35억불 규모 부비얀 섬 무바라크 항만개발(20TEU급 2백만개 처리용량)로 관련된 건설 분야나 엔지니어링 전문 인력의 채용 기대

브라질의 해외부족직군
일반현황

(경제전반) ‘10년 7.6%에 달했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4년 0.05%로 떨어졌고, ’15년 성장률은 마이너스 성장이 확실시

ㆍ‘14년 6.3%였던 물가는 ’15년 7.4%로 상승이 전망되고, 실업률 또한 최근 5년간 5~6%대 박스권대에서 정체되는 등 경제침체 요인 지속

(산업동향) 브라질 GDP의 33%, 수출의 42%, 고용의 27%를 차지하고 있는 농축 산업, 향후 개발 잠재력이 많은 광물 산업, 제조업, IT 산업 및 건설 산업 등이 브라질에서 경쟁력이 높은 분야로 평가

(취업동향) 건설, 제철, 자동차 등 중공업이 발달되어 있는 반면 기술직 인력이 부족해 높은 자격을 요구하지 않는 건설 및 플랜드 산업, 현재는 낙후되어 있어 발전가능성이 높은 IT산업 및 디자인 및 패션 분야 등으로의 취업이 유망

(인력동향) 맨파워그룹에서 진행한 2015년 부족 인력 설문조사(2015 Talent Shortage Survey) 결과, 브라질 고용주 중 61%*가 구인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세계 평균 38%로 브라질은 조사대상국(42개국) 중 4위

부족직군 현황
부족직군 현황
순번 부족직군 비고
영어 내지 원문 한글번역
1 Technicians 기술자  
2 Skilled Trades 숙련기술직  
3 Production Operators / Machine Operators 생산관리직  
4 Secrataries, PAs, Receptionists, Admin Asst. & Office Support Staff 비서, 사무행정원 등  
5 Laborers 비숙련공  
6 Drivers 운전기사  
7 Sales Representatives 영업사무직  
8 Engineers 엔지니어  
9 Accounting & Finance Staff 재무/회계사  
10 IT Personnel IT 인력  
멕시코의 해외부족직군
일반현황

(경제전반) 멕시코 제조품에 대한 세계시장 수요 증가 및 환율 상승으로 경기 회복 강화 추세

ㆍ‘15년 2.9% 및 ’16년 3.5%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예상

(산업동향) 생산 비용이 타 국가에 비해 비교적 낮은 제조업, 정부 인프라 투자계획으로 회복세인 건설업, 광업, 방송통신산업, 전기전자산업 등이 멕시코에서 경쟁력이 높은 분야로 평가

(인력동향) 맨파워그룹에서 진행한 2015년 부족 인력 설문조사(2015 Talent Shortage Survey) 결과, 멕시코 고용주 중 54%*가 구인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세계 평균 38%로 멕시코는 조사대상국(42개국) 중 9위

부족직군 현황
부족직군 현황
순번 부족직군 비고
영어 내지 원문 한글번역
1 Sales Representatives 영업사무직  
2 Secrataries, PAs, Receptionists, Admin Asst. & Office Support Staff 비서, 사무행정원 등  
3 Skilled Trades 숙련기술직  
4 Engineers 엔지니어  
5 Production Operators / Machine Operators 생산관리직  
6 Technicians 기술직  
7 Accounting & Finance Staff 재무/회계사  
8 Sales Manager 영업사무직  
9 Management / Executive 관리직  
10 IT Personnel IT 인력